<구글 어낼리틱스 연결-> <구글 웹사이트 등록-> <구글 애드센스 등록-> <네이버 웹사이트 등록 <네이버 어드바이저 웹등록 -> 티스토리 블로그 rss와 sitemap.xml에 대하여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일지

티스토리 블로그 rss와 sitemap.xml에 대하여 알아보기

by 스티브홍 2025. 3. 28.
728x90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면서 처음 접하게 되는 영어 단어 rss와 sitemap.xml가 생소하고 어렵게 생각되는데 이는 앞으로 내 블로그를 노출시키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므로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RSS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웹사이트의 새로운 글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알림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네가 자주 가는 뉴스 사이트나 블로그가 있다고 해봅시다. 매번 방문해서 새로운 글이 있는지 확인하는 게 귀찮습니다.

그런데 RSS를 사용하면?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자동으로 내 RSS 리더(앱)에 표시되어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최신 글을 확인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나의 블로그에도 있어야 되고 외부에 공개로 설정되어 최대한 많이 가져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가. RSS 작동원리

RSS는 특별한 주소(URL)로 제공됩니다  예를 들면 🔗 https://example.com/rss이걸 RSS 리더 앱(예를 들면 이후에 등록할 구글의 서치 콘솔)에 추가하면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자동으로 구글이 인식하게 됨

 

나. RSS가 왜 중요할까요?

자동 업데이트 → 매번 사이트 방문할 필요 없음
빠른 정보 수집 → 여러 사이트의 새 글을 한 번에 확인
광고 없이 읽기 가능 → RSS 리더에서는 광고 없이 깔끔하게 글을 볼 수 있음

2. sitemap.xml은?

기본적으로는 rss와 비슷하나 사이트 전체 구조를 외부에 알려주는 역할을 함. 즉 어떤 페이지가 중요한지, 최신 업데이트가 언제 인지 등을 구글 등 검색엔진이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검색 노출에 유리함.

3. RSS vs site.xml 차이점

  RSS sitemap.xml
주요 역할 최신 콘텐츠 업데이트 알림 전체 사이트 구조 제공
포맷 XML (보통 블로그, 뉴스) XML
구글이 가져가는 정보 최신 게시글, 제목, 링크 모든 페이지 URL, 중요도, 업데이트 날짜
사용 추천 사이트 블로그, 뉴스, 콘텐츠 사이트 모든 웹사이트

 

간단하게 요약하면 RSS는 새로운 콘텐츠가 발행되었음을 빠르게 알리고, sitemap.xml은 전체 사이트 구조를 검색엔진이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둘 다 등록하면 검색엔진의 검색 최적화(SEO)에 효과적이어서 내 콘텐츠의 노출에 필수적입니다.

 

당장은 어렵고 이해가 잘 안되지만 향후 검색엔진의 SEO 공부와 구글 서치콘솔 등록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항목이니까 미리 정리하고 갑시다.

2025.03.28 -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일지] - 티스토리 블로그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도전일지1

 

티스토리 블로그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도전일지1

우연히 알게 된 블로그 글쓰기유튜브에서 정보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부업을 소개하는 코너에 출연한 사람의 방송을 보게 되었다. 가진 것 없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던

tipdepo.com

2025.03.28 -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일지] - <티스토리 블로그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도전일지2> 티스토리 블로그개설시 주의사항

 

 

2025.03.28 -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일지] - <티스토리 블로그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도전일지3> 블로그별 특징과 장단점 비교, 블로그 전략

 

<티스토리 블로그 60대의 수익형 블로그 도전일지3> 블로그별 특징과 장단점 비교, 블로그 전략

오래전에 개설했지만 방치 상태로 있는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를 놔두고 우선 티스토리를 개설한 이유는 티스토리가 본인의 목적에 맞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블로그 하면 네이버만 생각하는

tipdep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