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어낼리틱스 연결-> <구글 웹사이트 등록-> <구글 애드센스 등록-> <네이버 웹사이트 등록 <네이버 어드바이저 웹등록 -> '경제생활정보/주식관련'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생활정보/주식관련13

<기업공시 파악1>유상증자, 쉽게 이해하기: 절차부터 제3자 배정까지 유상증자는 기업이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복잡해 보이는 용어(유상증자,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와 복잡한 유상증자 절차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이 많지만 유상증자의 절차와 제3자 배정 방식에 대해 쉽게 이해해 보도록 해 보겠습니다. 1. 유상증자, 왜 하는 걸까?기업은 다양한 이유로 유상증자를 합니다.사업 확장: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거나 시설을 늘리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합니다.재무 구조 개선: 빚을 갚거나 재무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자본을 늘립니다.운영 자금 확보: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 회사를 운영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합니다.다른 회사 인수: 다른 회사를 사들이기 위해 필요한 돈을 마련합니다. 또는 인수하려는 회사의 유상증자, 보통은 제3자 배정 유상.. 2025. 3. 11.
한국거래소 KRX와 대체거래소 넥스트트레이드 NXT 분석! 혹시 미국 주식 시간 외 거래를 해보신 적 있나요? 바로 그게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인데, 이제 국내에서도 대체거래소(NXT: Next Trade System)가 도입되었다.이때까지는 한국거래소(KRX: Korea Exchange) 하나만 운영되어 왔다. 마치 대형마트 하나만 있던 시절처럼 소비자(투자자)들은 선택의 폭이 좁고 다양한 서비스를 누리기 어려웠던 것과 비슷하죠. 하나만 있으니 투자자들이 원하는 새로운 투자 방식이나 서비스가 나오기 어려웠고, 새로운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투자도 부족했다. 그러다 보니 급변하는 시장의 요구에 맞춰 새로운 투자 상품을 내놓기도 어려웠다. KRX독점의 시대를 깨고 대체거래소(ATS)의 하나로 .. 2025. 3. 11.
PBR(주가순자산비율) 제대로 알고 활용하기: BPS 개념을 토대로 주식 투자, 복잡하지만 핵심 지표 몇 가지만 제대로 알아도 실패할 확률이 적어지는 데요. 앞서 살펴본 주가수익비율(PER)과 더불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제대로 된 가치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오늘은 PBR과 그 핵심 구성 요소인 BPS(주당순자산가치)를 쉽게 이해하고,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BR(Price Book-value Ratio:주가순자산비율) 개념 바로잡기PBR은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나 평가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이 가진 실제 자산에 비해 시장에서 얼마나 저평가 또는 고평가 받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PBR = 주가 / BPS(주당순자산가치)예를 들어, 토지 시가 50억 원, 건물 가치 30억 원인 .. 2025. 3. 6.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Ⅱ 밀리의 서재 분석 1에 이어 분석을 이어 가겠습니다.2025.03.05 - [경제생활정보/주식관련] - 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Ⅰ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Ⅰ" data-og-description="최근 약세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장에서 발견한 보화와 같은 주식 “밀리의 서재”를 분석하려 합니다.  차례에 나누어서 이유와 나름의 밸류에이션을 제시해 보고자 하오니 참고하시고, 이것" data-og-host="te.tipdepo.com" data-og-source-url="https://te.tipdepo.com/entry/%EC%A3%BC%EC%8B%9D%ED%88%AC%EC%9E%90-%EA%B8%B0%EC%97%85%EB%B6%84%EC%84%9D%EC%98%A8%EB%9.. 2025. 3. 5.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Ⅰ 최근 약세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장에서 발견한 보화와 같은 주식 “밀리의 서재”를 분석하려 합니다.  차례에 나누어서 이유와 나름의 밸류에이션을 제시해 보고자 하오니 참고하시고, 이것은 절대 투자를 권유하거나 꾀려는 의도가 아니고 저의 공부를 공유하고자 함임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1. 밀리의 서재 발견 계기저는 책을 필생의 취미로 삼고 있는 사람으로서 일년에 70 - 100권의 책을 읽고 있으며 매월 도서구입비로 최소 30만원 정도 소비하면서 집의 방마다 넘쳐나는 책으로 고심이 많았습니다. 책에 대한 유별난 욕심으로 버리지도 못하고 늘어만 가는 책에 한편 뿌듯해 하면서도 동시에 그 공간적 복잡성과 혼란함으로 가족들의 원성도 컸었습니다. 이때 발견한 것이 밀리의 서재였습니다. 폴더블폰으로 바꾸면서 KT .. 2025. 3. 5.
PER(주가수익비율) 제대로 알고 활용하기 개념 바로잡기 PER (Price Earnings Ratio)은 영어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주식의 현재 가격(Price)과 회사가 올리고 있는 수익(Earnings)과의 비율을 말한다. 그래서 주가와 수익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내므로 주가수익비율 또는 주가수익배율이라고 부른다. 수익은 EPS(Earnings Per Share)로 계산하는데 이는 주당순이익으로 회사가 기록한 최근 회계연도의 세후 순이익을 회사의 총발행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공식: 주가수익비율(PER) = 1주당 주가 / EPS  통상적으로 주가는 비교하려는 시점의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주당순이익은 가장 최근 회계연도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하거나 회계연도 중에는 당해 연도의 순이익 추정치를 이용하고, 미래의 방향을 알아 보고자 할 .. 2025. 3.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