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재명 후보가 지역화폐의 확대를 강조하며,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이루겠다는 공약을 내놓았습니다. 지역화폐가 실제로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 궁금해져서, 저는 중앙정부에서 운영하는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발급받아 직접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을 발급받고 사용해 보니, 생각보다 간편하고 혜택도 다양했습니다.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운영 상점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고, 소득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실용적이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한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발급 과정과 사용법, 그리고 이를 통해 느낀 장점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1.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앱 설치 및 회원가입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온누리상품권' 앱(디지털온누리) 다운로드, 설치 후 앱을 실행하고 회원가입 진행 (본인인증 필요)
2.계좌 등록후 상품권 충전 혹은 카드 연결
계좌를 등록한 후 계좌에서 금액을 이체하여 원하는 금액의 상품권을 구매, 구매한 상품권은 앱 내 '충전' 메뉴에서 확인 가능
위 그림에서 계좌에서 직접 연결하면 파란색처럼 계좌를 연결하고, 자신의 신용카드와 연결해 쓰려면 빨간색 결제카드 관리로 들어가서 다음 화면처럼 자신의 카드를 선택해서 연결 등록하면 됩니다.
3. 사용 가능한 가맹점 찾기
위의 그림에서 처럼 앱 하단의 초록색 부분처럼 '가맹점 찾기' 버튼 클릭하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 가능한 가맹점들이 표시됩니다. 이 곳에 가서 사용하면 되고 혹시 모르면 검색창에서 지역명이나 상호명을 입력하여 직접 검색도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가맹점 주소, 전화번호, 영업시간, 취급상품의 정보도 확인 가능하고, 길찾기 기능을 통해 원하는 가맹점까지 이동 경로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곳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곳을 클릭하여 들어가서 사용하면 됩니다.
4.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하는 방법
가맹점에서 결제하는 방법
무인계산대에서 결제할 경우에는 앱의 '결제하기' 버튼 클릭 -> QR코드를 가맹점의 인식기에 가져다 대기 ->금액 입력 후 '결제하기' 버튼 누르면 결제 완료, 가맹점 직원에게 결제 시 직원에게 에게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하겠다고 말하고 직원이 고객 휴대폰의 QR코드를 인식하여 결제 진행
결론: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활용하면 전통시장이나 소규모 상점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보통 10% 할인하여 살 수 있고(100만원 상품권을 90만원에 산다고 생각하면 됨) 여기에 추가적으로 할인이나 환급행사가 많이 있어 소비자 입장에서 혜택이 많습니다. 아울러 종이 상품권 형식으로 사거나 체크카드 형식이면 연말정산시 30%, 신용카드와 연결하면 신용카드로 15%의 소득공제 효과에 전통시장소비 추가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세금효과도 볼 수 있어 추가적인 경제적 혜택도 있습니다.
제가 직접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가입을 해보니, 이 상품권과 지역화폐가 왜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그리고 이재명 대표가 왜 그렇게 강조하는지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정치적 의도를 너무 강조하지 말고 순수한 소비자 혜택을 통한 내수진작의 목적으로 온누리상품권이 잘 운용되기를 바랍니다.
'경제생활정보 > 금융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 분석3>스테이블코인과 레돗페이(RedotPay)시장 활성화 관련 유망 투자 기회 분야와 과연 테더를 사야 할까? (0) | 2025.05.15 |
---|---|
<스테이블코인 분석1> 스테이블코인과 레돗페이(RedotPay) 국내 결제 도입. 향후 암호화폐 시장과 결제와 자금 이동은 어떻게 될까? (2) | 2025.05.15 |
12대 중과실 교통사고 벌점 및 보험처리 (0) | 2025.04.28 |
목돈 마련의 희망,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대상, 혜택, 가입 방법 완벽 분석! (2) | 2025.04.19 |
국가 총부채·가계부채 비율 하락의 의미와 재정 건전성 과제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