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어낼리틱스 연결-> <구글 웹사이트 등록-> <구글 애드센스 등록-> <네이버 웹사이트 등록 <네이버 어드바이저 웹등록 -> ESG, CSR, CDG의 개념 비교와 ESG경영에 대하여
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정보/경영관련

ESG, CSR, CDG의 개념 비교와 ESG경영에 대하여

by 스티브홍 2025. 3. 10.
728x90
반응형

ESG CSR CDG 지속가능경영
ESG CSR CDG 지속가능경영

 

ESG경영은 기업이 지속 가능하게 생존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영에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을 고려해야만 가능하다는 사회적 각성에 입각한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ESG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CSR의 실질적 실행 방안으로 보면 될 것이다. 또한, UN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들(SDGs)과의 연계는 글로벌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ESG경영을 추구하는 기업이 주목하고 따라야 할 구체적 지표로 보면 될 것이다.

 

ESG경영은 단순한 립서비스가 아닌,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적 전략으로, 투자자와 고객이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현재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ESG경영과 관련한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그의 구체적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자.

 

1.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란?

ESG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고려해야 할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세 가지 요소를 의미한다.

E(Environment, 환경) :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자원 순환, 친환경 제품 등

S(Social, 사회) : 노동인권 보호, 다양성·포용성 강화, 지역사회 공헌 등

G(Governance, 지배구조) : 이사회 독립성, 윤리 경영, 투명한 재무 보고 등

 

ESG 경영이란?

ESG 경영은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고려하며 기업을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 중요하게 여겨졌다면, 이제는 ESG 성과가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투자나 무역 등의 기업활동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2.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ESG의 차이와 관련성

CSR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ESG의 개념보다 먼저 등장하여 한 것으로 CSR이 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라면 ESG는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실제로 행해 보여 평가받는 보다 구체적인 사항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CSR과 ESG와 비교>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념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함 지속가능한 경영 전략
방식 자발적 사회 공헌 활동 투자·리스크 관리와 연결
중점 사항 기부, 봉사활동, 윤리경영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
평가 기준 명확한 측정 기준 없음 ESG 지표(탄소배출량, 노동환경, 기업지배구조 등) 활용

3.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란?

SDG는 2015년 UN에서 발표한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세부적인 17가지 목표를 의미한다.

①     빈곤 퇴치: 모든 형태의 빈곤 종식.

②    기아 해소: 기아 종식, 식량 안보 및 지속 가능한 농업.

③    건강과 웰빙: 모든 연령대의 건강한 삶 보장 및 복지 증진.

④    양질의 교육: 모두를 위한 포괄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⑤    성평등: 성평등 달성과 여성 및 소녀의 권익 강화.

⑥    깨끗한 물과 위생: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 시설 접근 보장.

⑦    저렴하고 깨끗한 에너지: 지속 가능하고 현대적인 에너지 보장.

⑧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경제 성장 및 일자리 제공.

⑨    산업, 혁신, 사회기반시설: 지속 가능한 산업화와 혁신 촉진.

⑩    불평등 감소: 국가 내 및 국가 간 불평등 감소.

⑪    지속 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포괄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⑫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⑬    기후 행동: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대응.

⑭    해양 생태계 보존: 지속 가능한 해양 사용과 보존.

⑮    육상 생태계 보존: 지속 가능한 육상 생태계 관리.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평화로운 사회 촉진 및 모두를 위한 정의 보장.

17    파트너십 활성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ESG와 SDG의 관계

SDG는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목표이며,

ESG는 기업이 SDG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는 바, SDG는 글로벌 정책 목표, ESG는 기업의 실행 전략이다.

 

4. ESG 경영 주요 기업들 사례

1) 애플(Apple) – 탄소중립 및 친환경 제품 확대

<실행 사항>

2030년까지 전체 공급망과 제품에서 탄소 중립(Carbon Neutral) 달성 목표

제품 생산에 100% 재생에너지 사용 (아이폰, 맥북 등의 공급체인망 기업에 동일 의무 부여)

재활용 소재 활용: 아이폰의 리사이클 알루미늄 적용

<이후 효과>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증가 → 브랜드 이미지 강화

공급망 내 기업들에게도 ESG 기준을 요구 →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성 증가

투자자들의 ESG 투자 확대로 인해 더 많은 자금 유치

2) 스타벅스(Starbucks) – 친환경 매장 & 지속가능한 원두 조달

<실행 사항>

2025년까지 일회용 컵 사용 50% 감축 목표

에코 매장 확대: 전 세계 10,000개 이상의 점포에서 친환경 건축 기준 적용

윤리적 원두 조달: 농부들에게 공정한 가격을 지급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지원

<이후 효과>

친환경 이미지 강화 → 젊은 소비자층(밀레니얼, Z세대)에게 인기 상승

친환경 경영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여 매출 증가

지속가능한 원두 공급망 구축으로 장기적인 원가 절감 효과

3) 삼성전자 – ESG 기반 지속가능 경영 & 재생에너지 확대

< 실행 사항 >

반도체 공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전기차, 수소차 배터리 사업 강화 →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 지원

협력사에도 ESG 기준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이후 효과 >

글로벌 투자사(블랙록, 피델리티 등)들이 삼성의 ESG 경영을 긍정적으로 평가 → 투자 유치

탄소배출 절감과 에너지 절약으로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친환경 배터리 사업이 성장하면서 미래 먹거리 확보

4) 파타고니아(Patagonia) – 지속가능한 패션 브랜드의 선두주자

< 실행 사항 >

100% 재생소재로 만든 의류 생산

소비자들에게 제품 수선 서비스 제공 → 불필요한 소비 줄이기

수익의 1%를 환경 보호 단체에 기부

< 이후 효과 >

‘착한 브랜드’ 이미지로 충성도 높은 고객층 확보 → 매출 증가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 도입으로 장기적인 원가 절감

 

이러한 대표적 기업들의 ESG 경영 확대로 글로벌 ESG 투자가 증가하고 있고, ESG채권, ESG ETF 등 관련 금융상품 성장 중

 

5. 기업이 ESG 경영을 제대로 하도록 감시하고 견제하는 제도 및 방식

1) ESG 공시 및 평가 제도

    투자자와 소비자가 기업별로 ESG에 대해 투명하게 보게 하여 평가지수가 낮거나 불투명한 기업에 압력을  가하도록 함.

 

① ESG 공시 의무화 (ESG Disclosure)와 투자 연계

EU: 2024년부터 '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지속가능성 공시 지침)' 시행으로 ESG 공시 의무 확대

미국: 블랙록,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투자사들이 ESG 투자 확대(ESG와 관련된 기업 또는 이를 잘 준수하는 기업에 투자)

한국: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사 대상 ESG 공시를  의무화해서 2030년까지 그 대상을 전체로 확대할 예정.

 

글로벌 ESG 평가 기관 : 기업의 ESG 성과를 측정하고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MSCI ESG Ratings (모건스탠리) / Sustainalytics (모닝스타 자회사) / FTSE Russell (영국 금융거래소) / DJSI (다우존스 지속가능지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Sustainability Report) 작성

기업이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에 대한 성과를 정리하여 공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ESG 보고 기준: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TCFD (기후관련 재무정보 공개) 프레임워크/ SASB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

 

2) 투자자 및 금융권의 압박 (ESG 투자 & 금융 제재)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 축소 및 금융 접근 제한.

 ① ESG 펀드 및 투자 유치 기준 강화

글로벌 대형 투자사들은 ESG 점수가 낮은 기업에 대한 투자 제한 및 자금 회수 진행 (블랙록(BlackRock), 피델리티(Fidelity),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ESG 채권(Green Bond, Social Bond) 발행 시 ESG 공시 요구 강화

지속가능 금융 원칙 적용

금융기관들이 대출 및 투자 시 ESG 리스크를 평가하여,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대출 금리 인상, 투자 거절

EU 택소노미(EU Taxonomy), 한국 K-택소노미 등을 통해 기업   활동을 ESG 기준으로 분류

<녹색분류체계(Taxonomy)>
TAXONOMY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환경 친화적인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기업들이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환경 목표 설정: 온실가스 감축, 기후 변화 적응, 물 보전, 순환 경제, 오염 방지, 생물 다양성 보전 등 6가지 환경 목표를 설정합니다.
  • 경제 활동 분류: 각 목표에 부합하는 경제 활동을 녹색 활동과 전환 활동으로 분류합니다.
  • 기준 제시: 각 활동별로 구체적인 기술적 심사 기준(Technical Screening Criteria, TSC)을 제시하여 환경성을 평가합니다.

3) 정부 규제 및 법적 제재

 탄소 배출 규제 & 탄소세 도입

기업이 일정량 이상의 탄소를 배출할 경우 탄소세 부과 또는 배출권 거래제(ETS) 적용

2023년부터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 ESG를 준수하지 않으면 수출기업에 불이익

노동·인권 보호 강화

기업의 공급망 전반에서 아동노동, 강제노동 등 인권침해 여부를 감시

독일 공급망 실사법(Lieferkettengesetz, 2023년 시행) → ESG 미준수시 기업 벌금 부과

③ ESG 인증 및 기준 제정

ESG 인증제도를 운영하여 환경·사회적 책임을 다한 기업만 인증 부여

4) NGO 및 시민단체의 감시 강화

환경단체의 기업 감시 활동

그린피스(Greenpeace), 세계자연기금(WWF) 등은 환경 파괴 기업을  공개 비판하고 불매운동 전개

 소비자 불매운동 & 소셜미디어 압박

ESG를 제대로 실천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SNS 폭로 및 불매운동

6. ESG 경영을 제대로 했을 때 기업이 얻는 이익

1) 브랜드 가치 & 소비자 충성도 증가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은 브랜드 신뢰도 상승하여ESG를 실천하는 기업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특히 MZ세대) 증가

2) 투자 유치 & 주가 상승 효과ESG 지표가 좋은 기업은 글로벌 투자사들의 관심 증가하여ESG 채권, ESG 펀드 등을 통한 자금 조달 용이

3) 비용 절감 & 운영 효율성 증가

에너지 절약, 친환경 기술 도입 →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

4) 규제 대응 & 법적 리스크 감소

정부 및 국제 사회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ESG 도입 기업은 규제 리스크 최소화

5) 직원 만족도 & 생산성 증가

윤리적 기업 문화 형성하여 직원들의 자부심과 직장 만족도 높아져서 다양한 인재 확보(특히 젊은 세대들은 ESG 가치에 공감하는 기업 선호)

결론 및 제언 :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

ESG, SDG, CSR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필수 개념이다.

  • CSR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개념
  • SDG는 UN이 정한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목표
  • ESG는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경영 전략

이제 기업들은 단순한 사회공헌을 넘어서, ESG 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 장기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갈 수 있다.

그래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이사회 내에 별도 조직을 구성하고 내부 감시 시스템 구축하여 기업 내부에서 ESG 경영을 강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선제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