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5 - [경제생활정보/주식관련] -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Ⅰ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Ⅰ
최근 약세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장에서 발견한 보화와 같은 주식 “밀리의 서재”를 분석하려 합니다. 차례에 나누어서 이유와 나름의 밸류에이션을 제시해 보고자 하오니 참고하시고, 이것
te.tipdepo.com
2025.03.05 - [경제생활정보/주식관련] -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Ⅱ
<주식투자 기업분석>온라인 독서플랫폼 선구자 – 밀리의 서재 Ⅱ
밀리의 서재 분석 1에 이어 분석을 이어 가겠습니다.1. 밀리의 서재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추가 분석밀리의 비즈 모델을 간략히 정의하면 온라인 유료 도서관이 아닐까요. 즉 온라인 도서 배급(Bo
te.tipdepo.com
밀리의 서재 주식의 가치는 얼마가 적정할까?
최근까지의 실제 영업 추세를 보수적으로 반영하여 24 25 26년의 밀리의 서재 실적을 추정하였다. 신규 사업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존 사업만을 고려했고 기존의 성장률에서 실적 증가에 따라 성장률과 이익률이 일정하게 체감하는 것으로 보수적으로 가정함.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추정됨.
2022 | 2023 | 2024 3Q | 2024(E) | 2025 | 2026 | |
매출액 | 458억 | 566억 | 531억 | 732억 | 915억 | 1,125억 |
증가율 | 23.6% | 29.3% | 25.0% | 23.0 | ||
영업이익 | 41억 | 104억 | 97억 | 133억 | 156억 | 180억 |
영업이익률 | 9.0% | 18.4% | 18.2% | 17.0% | 16.0% | |
당기순익 | 133억 | 145억 | 98억 | 134억 | 156억 | 180억 |
자본금 | 33억 | 42억 | 42.4억 | 42.4억 | 42.4억 | 42.4억 |
주식수 | 660만주 | 839만주 | 850만주 | 850만주 | 850만주 | 850만주 |
EPS | 2,176 | 2,060 | 1,153 | 1,576 | 1,835 | 2,118 |
PER | 11/28일 주가 13,340 기준 |
8.5 | 7.3 | 6.3 | ||
BPS | 8,070 | 8,494 | 10,329 | 12,447 | ||
BPR | 1.57 | 1.29 | 1.07 |
밀리의 서재는 23년 9월 최초 상장 시에 온라인 지니스의 성장성을 감안하여 PER 30.55를 적용하여 공모가를 23,000으로 결정한 바가 있다.
동일한 기준으로 25년 실적을 기준으로 적용하면 1,835(EPS)* 30.55(PER) = 56,059으로 주가 56,059원 시가 총액 4,765억이 된다.
비교 기업군을 상정하기가 어려워 한국의 대표적 온라인 대표기업 NAVER와 카카오의 수치를 찾아 보면, 현재 NAVER와 카카오의 PER는 각각 19, 51 PBR 1.25, 1.65를 기록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극심한 주가 부진 속에서도 이런 수치를 기록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평균을 적용하면 PER 35가 도출된다. 이 경우 25년 기준 1,835 * 35 = 64,225(주가) 시가 총액 5,459 억이 도출된다.
현재 극심한 침체 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국 코스피 평균 PER 14.41, PBR 0.9를 적용하면 1,835 * 14.41 = 26,442원 시가 총액 2,248억이 도출된다.
통상 IT 및 온라인기업 중심의 미국 나스닥의 PER 평균 30을 적용해 볼 때 1,835 * 30 =55,050원 시가 총액 4,679억이 도출된다.
또 하나의 기준점은 KT가 3년전 서영택의 3년내 IPO조건부 지분 매입가가 38,092원 이었던 것은 그 시점(2021년)에서 3년후 2024년의 8월 회사가치를 반영한 것인 바, 이것을 그대로 인정하여 2025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38,092 *1.15(2024년 하반기 성장률) * 1.25(25년 성장률) = 54,757원 시가 총액 4,654억이 도출된다.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PER 적정 주가 시가 총액
상장시 기준 30.55 56,059원 4,765억
NAVER/카카오 35 64,225원 5,459억
코스피 평균 14.41 26,442원 2,448억
나스닥 평균 30 55,050원 4,679억
서영택 Put Option 54,757원 4,654억
밀리의 서재의 가치를 저성장 업종들이 포함된 코스피 평균을 최저점으로 하여 시가 총액 2500억(주가 26000원) 에서 5500억(주가 64000원)의 범위를 설정해 볼 수 있다.
현재 밀리의 서재는 182명의 직원으로 1인당 매출액이 5억 수준에 이르는 높은 생산성을 보이고 있고, 연말 기준으로 순자산가치(NAV)가 722억 정도로 추정되는데 거의 모든 자산이 현금 및 금융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산 감소요인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우량한 자산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100% 현금 및 카드로 구독료를 선결제 수취하여 외상매출이 없고 비용은 사후 정산방식으로 지급하고 있어 금융부채가 제로인 상태에서 외상매입금만 존재하여 아주 양호한 현금흐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회계 및 재무상태도 매우 심플하면서도 투명하게 유지되고 있다.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에 밀리의 서재의 시가총액은 5000억선은 충분히 되어야 한다고 보여진다. 이는 점점 고객의 확대에 따라 플랫폼의 깊이(Depth)를 심화하고 컨텐츠의 대규모/다양화로 그 넓이(Width)를 확대하여 플랫폼 자체의 외연 확대에 의한 신규 사업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기존 사업만을 고려한 것이다.
밀리의 서재 플랫폼의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가치가 증대될 것이다. 고객들이 깊은 지식을 추구하는 동질적이면서도 양질의 구성원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을 대상으로 컨텐츠의 다변화와 이들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메시지의 발신, 그리고 양질의 성인대상 교육이나 문화 컨텐츠의 시장으로서의 가치 또한 클 것이다.
또한 자체 IP 컨텐츠의 생산을 위한 신규 사업의 확대(밀리로드), 웹툰.웹소설 등 전달 컨텐츠의 다변화 등이 본격화되고 플랫폼의 특성을 반영한 여러 잠재적 사업들이 구체적인 사업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면 회사의 가치는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시총 1100억 선은 지나치게 저평가된 것이라고 보여지며 단기적으로는 코스피 평균선 2500억을 거쳐 5000억 기업가치를 시장에서 시현해야 적정하다고 보여진다. 밀리의 서재의 신규 사업에 따른 장기적 가치 증가는 전적으로 회사의 역량에 의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