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어낼리틱스 연결-> <구글 웹사이트 등록-> <구글 애드센스 등록-> <네이버 웹사이트 등록 <네이버 어드바이저 웹등록 -> 내게 가장 적합한 대중교통 할인 카드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정보/일상생활정보

내게 가장 적합한 대중교통 할인 카드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by 스티브홍 2025. 4. 18.
728x90
반응형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할인 카드 및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토교통부 국가적으로는 K-패스가 있고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있으며, 지역별로 혜택이 조금씩 다르지만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저의 경우에 어떻게 선택했는지 사례로 보여 드리겠습니다.

대중교통 할인 카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할인 카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1. K-패스 (국토부 지원 전국 단위 교통비 환급 카드)

대상: 전국민 (청년·저소득층 우대)

 

혜택: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는 조건 충족 시 대상별로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 , 일반인은 전월 사용금액의 20% 환급, 청년(19~34세)은 30% 환급, 저소득층은 53% 환급

 

이용 범위: 전국 지하철, 시내·마을·농어촌 버스, 수도권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전국에서 이 제도에 참여한 지자체의 대중교통은 다 포함되므로 전국 단위로 이동이 많은 사람에게 유리,

다만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승차권을 구매해야 하는 교통편에는 적용되지 않음. 그러나 신분당선과 수도권 광역열차편 GTX는 포함됨.

2.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정액제 교통카드)

대상: 서울시민 (특히 청년층에 유리)

요금: 일반권: 월 62,000원, 청년권(19~34세): 월 55,000원으로 월 단위로 동 금액만 선 충전하면 동 금액을 초과하여 제한 없이 서울시 대중교통을 이용함( 서울시 대중 자전거 따릉이 포함 시 3,000원 추가)

이용 범위: 서울 지하철(1~9호선), 서울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포함, 월 정액제로 무제한 이용 가능하며, 출퇴근 외에도 자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적합

3. 지역별 추가 혜택

각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경기패스: K-패스 가입 시 경기도 주소지가 확인되면 자동 적용, 청년층 기준 확대(만 39세까지)
  • 부산 동백패스: 부산 대중교통 이용 시 월 4만 5천 원 초과 사용 시 최대 4만 5천 원 환급
  • 인천 i패스: 청년 나이 확대(만 39세), 어르신(65세 이상) 30% 환급
  • 경남패스: 저소득층 및 75세 이상 어르신 100% 환급
  • 광주 G패스: 청년(19~39세) 30% 환급, 어르신(65세 이상) 50% 환급

대중교통 이용 할인 카드 및 지방자치단체별 혜택 요약

구분 카드/제도명 대상 주요 혜택 이용 범위 특징 거주지별 추가 혜택
전국 단위 K-패스 전국민 (청년·저소득층 우대) 월 15회 이상 이용 시:
- 일반: 20% 환급>
- 청년(19~34세): 30% 환급
- 소득층: 53% 환급
전국 지하철, 시내/마을/농어촌 버스, 수도권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지출 금액 기준 환급, 전국 이동 잦은 이용자에게 유리 경기패스 (경기도): 청년 기준 만 39세까지 확대
인천 i패스 (인천): 청년 기준 만 39세까지 확대, 65세 이상 30% 환급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서울시민 (특히 청년층) 월 정액 요금으로 무제한 이용:
- 일반권: 62,000원
- 청년권(19~34세): 55,000원
- 따릉이 포함 시 3,000원 추가
서울 지하철(1~9호선), 서울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선택 시) 정액제 무제한 이용, 서울 시내 대중교통 잦은 이용자에게 적합 -
부산광역시 동백패스 부산 시민 부산 대중교통 월 4만 5천 원 초과 사용 시 최대 4만 5천 원 환급 부산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일정 금액 이상 사용 시 환급 혜택 -
경상남도 경남패스 경상남도 거주 저소득층 및 75세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이용 요금 100% 환급 경남 지역 대중교통 취약 계층 교통비 부담 완화 -
광주광역시 G-패스 광주광역시 거주 청년(19~39세) 및 65세 이상 어르신 - 청년: 30% 환급
- 어르신: 50% 환급
광주 지역 대중교통 청년 및 어르신 대상 높은 할인율 제공 -

참고: 위에 제시된 정보는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각 지자체의 정책 변경에 따라 혜택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본인 거주지의 최신 정보를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어느 것이 유리할까(내 경우 비교 사례)

​​그래서 저는 제 교통 패턴을 분석해봤어요.

​출퇴근할 때 버스 + 지하철 왕복으로 하루에 약 3,000원 쓰고, 주 4-5일 이용하니까 한 달에 약 16-20일 이용을 가정하면 48,000 - 60,000원 정도 나옵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시에는?>

​일반인 62,000원 고정되니까 한 달에 별로 절약이 되지 않습니다. 한달에 62,000원 이상 대중교통을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데 만약에 이 이상으로 서울 시내에서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면 이득임.

<K패스 사용 시에는?>

​한 달 교통비 평균 54,000원(48,000원과 60,000원의 평균)으로 잡으면 20% 적립 (하루 최대 2회 기준)한다고 가정하면, 최대 적립 가능 금액은 약 10,800원, 한 달에 10,800원을 돌려받을 수 있고 서울 외곽이나 지방 내려갈 때도 추가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따져보니까 제 경우의 생활 패턴으로는 K 패스가 10,000원 정도 더 이득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기존의 교통카드를 폐지하고 네이버페이를 통하여 선 충전 방식의 K패스 교통카드로 교체했습니다. 이 경우 네이버 페이에서도 추가적으로 혜택을 더 준다고 하니 결과적으로 한 달에 기존의 교통카드 만을 사용할 때보다 한달에 15,000원 정도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오늘 제 글 보시고, 본인 교통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면 좋을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교통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을 밟기 바랍니다.

1)   우선 교통카드를 선택(티머니/ 캐시비)

2)   독립 교통카드 혹은 카드 연계(후불 방식)

3)   카드를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로 연계할 지 아니면 네이버페이처럼 계좌와 직접 연결할 지 결정

4)   자신의 사용패턴에 맞춰 자신의 시도나 정부의 적절한 지원카드 선택 연결

 

저의 경우에는 1) 캐시비카드 선택 -> 2)3) 카드 연계하지 않고 네이버페이의 제 게좌에서 일정 금액 충전 방식 선택 4) K 패스연계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들도 교통카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시어 자신에게 가장 맞는 방식을 선택하시기를 바랍니다.

2025.04.11 - [경제생활정보/일상생활정보] - 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하이패스의 헷갈리는 관계 총정리!

 

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하이패스의 헷갈리는 관계 총정리!

저는 대중교통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때면 핸드폰에 심어 둔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하고, 택시를 탈 때면 카카오택시와 연동해 둔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면 신용카드와 연

tipdepo.com

 

 

 

728x90
반응형